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주택 유상거래에 따른 취득세 과세표준 등 질의 회신

지방세.한국 2012.04.26 11:20 조회 수 : 3022

문서번호/일자  
지방세운영과-4724, 2011.10.07

질의

상가주택을 취득하면서 주택 유상거래 감면을 더 많이 받기 위해 주택분과상가분으로 취득가격을 분리한 후 주택분에 과다하게 치중하여 취득신고를 한 경우의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방법과

주택재건축사업이 시행인가되어 1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세대가 모두 이주한 단전·단수 및 출입문 폐쇄상태 등의 물건에 대해“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로 보아 유상거래 감면에서 제외하였으나, 수개월 후에 시행인가가 취소되었다면 당초 취득시기로 소급하여 주택 유상거래 감면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승인취소 이후의 취득물건이 주택 유상거래 감면대상에 해당하는지의 여부

회신

상가주택을 취득한 후 주택부분과 상가부분을 구분하여 취득가액을 신고한 경우에는 각각의 시가표준액과 신고가액을 비교한 후 높은 금액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적용하되, 주택부분에 대해서는「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검증된 가액이 있다면 그 가액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적용해야 할 것임.

과세물건의 취득 당시 주택재건축사업시행을 위해 인가를 받은 후 세대원이 이주하고 단전·단수 및 출입문 봉쇄 등의 폐쇄조치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외형적으로 주택 형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곧 철거될 것이기 때문에 이미 사용가치를 상실하고 새로이 건축되는 주택을 소유할 수 있는 분양권으로서의 가치만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유상거래 감면대상으로서의 “주택”으로 볼 수는 없으며,

다만, 조합해산 등으로 인해 사업시행인가가 취소되고 단전·단수가 해지되는 등 주택기능이 회복되었다면 인가취소 후 취득하는 물건은 유상거래 감면대상인“주택”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며, 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는 과세권자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할 사안임.

※ 대법원(2005두5369, 2007.6.15.) 및 조심(2008지112, 2008.8.11.)

끝.
번호 제목
» 주택 유상거래에 따른 취득세 과세표준 등 질의 회신
1626 건물의 구조가 철골조이면서 벽면이 조립식 패널, 유리 등 혼합되어 있는 경우 건물 벽면의 주된 구조에 대한 판단 여부
1625 실종선고 후 상속으로 인한 부동산 취득 시에 지방세법에 따른 부동산 취득시기는 실종선고일인지 실종만료일인지 여부
1624 “대한결핵협회”가 보유한 부동산을 보건산업진흥원에 유상임대한 경우에 고유업무에 직접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지 여부
1623 공부상 지목이“과수원”인 토지에 대해 농지의 전용신고를 하여 일부면적에는 감귤저장고를 신축하고 나머지 면적에는 과수를 식재한 경우에 해당 토지에 대한 과세대상 구분은?
1622 토지 취득을 위한 대출금 이자가 토지취득 이후에도 발생한 경우 신축 건축물의 과세표준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1621 토지취득 이후 지급한 건설자금이자의 신축 건축물 과세표준 포함 여부 질의 회신
1620 국가 등이 건설하는 공공건설임대주택 중 임대보증금 없이 분양전환금을 분할하여 납부하는 임대주택(이하“분납임대주택”이라고 함)을 취득하는 경우「지방세법」제10조제1항에 따른 연부취득으로 보아 분양전환금 납부시기를 취득시기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
1619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이하 “연금공단”이라 함)의 공무원 임대주택 감면 적용에 있어 「지방세특례제한법」(이하 “지특법”이라 함) 제24조(연금공단 등에 대한 감면) 및 제31조(임대주택 등에 대한 감면) 등 2개 이상의 감면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 중복 적용할 수 있는 지 여부
1618 시공사가 위탁자의 채무를 변제하고 그 대가로 수익권을 승계받은 후 본인명의로 신탁재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경우,「지방세법」제11조제1항제4호에서 규정한“신탁법에 따른 신탁재산인 부동산을 수탁자로부터 수익자에게 이전하는 경우의 취득”으로 보아 1천분의 30의 세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