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지방세운영과-202 (2012.1.17)

질의

“자연녹지지역” 내에 설치된 폐기물 처리용 토지가「공장입지기준면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공장용지로 보아 분리과세 할 수 있는 지 여부  


회신

가.「지방세법」제106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대통령으로 정하는 공장용지의 경우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구분한다고 규정하고 있고,「같은 법 시행령」제102조 제1항 제1호에서는 특별시·광역시 등의 “시지역”인 경우「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된 “산업단지” 및「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이용법”이라 함)에 의하여 지정된 “공업지역” 안에 위치한 공장용 건축물의 부속토지로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입지기준면적 범위안의 토지는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공장입지기준면적」은「같은 법 시행규칙」제50조 별표3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나.한편, 법규명령은 당해 법령의 위임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와 결합하여 효력을 가지는 것이고(대법원 ‘03.9.26 선고 03두2274 판결 참조), 조세법령의 해석은 법문대로 엄격히 해석하여야 하며 납세자에게 유리하다하여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 할 수 없으므로(대법원 ‘08.2.14 선고 07두21242 판결 참조),

·분리과세대상이 되는 공장용지는 광역시지역의 경우 산업단지 또는 “공업지역” 안에 위치한 공장용지이어야 하며,「공장입지기준면적」에 포함된다고 하여「국토이용법」에서 정하는 공업지역이 아닌 지역까지 분리과세대상으로 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다. 따라서 귀문의 경우 쟁점토지가「국토이용법」에서의 “공업지역”이 아닌 자연녹지지역에 속한 이상 공장경계구역 내(공장입지기준 면적 내) 토지라 하더라도 분리과세대상인 공장용지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사료되나(행심 2006-162호, ’06.5.2 결정 참조),이에 해당하는 지 여부는 과세권자가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빙자료를 확인하여 판단할 사안입니다. 끝.
번호 제목
1597 11년 이전(’04.9.1~‘06.8.31) 공동주택을 취득하고, ’11년 이후 대지권 등기를 위한 등록세 신고시 구 지방세법 제273조의2 규정을 적용하여 감면받을 수 있는지 여부
» “자연녹지지역” 내에 설치된 폐기물 처리용 토지가「공장입지기준면적」 범위 안에 있을 경우 공장용지로 보아 분리과세 할 수 있는 지 여부 
1595 공장 경계구역 밖(산업단지 내)에 설치된 사원용 임대주택에 대한 재산세 감면 여부 및 시가표준액 적용방식
1594 과점주주 특수관계인 및 창업중소기업 감면 해당여부 질의 회신
1593 철도공사 중인 예정철로의 인근(30m 이내) 임야에 대한 분리과세 적용시점은?
1592 동일사안(시효취득)에 대한 복수의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원고만 동일)이 각각 변론판결, 화해권고결정, 무변론판결이 난 경우 변론판결의 취득시기를 화해권고결정과 무변론판결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1591 가스충전소를 일괄로 취득하는 경우 등기·등록되지 않는 관련설비(저장탱크, 가스충전기, 발전시설 등)의 취득가액이 舊 등록세 과세표준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1590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0조의2의 주택거래에 대한 1인 1주택 감면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무주택자가 한 필지 위에 2개의 주택(등기된 주택1, 미등기된 주택1) 중 미등기된 주거용 건물 부분은 제외하고, 등기된 주택과 미등기된 주거용 건물의 부속토지를 취득한 경우, 미등기 주거용 건물의 부속토지 부분도 주택의 일부를 취득한 것으로 보아 1주택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없는지 여부
1589 휴원 중인 자동차운전학원부지를 자동차운전학원용 토지로 보아 별도합산할 수 있는지 여부
1588 지자체가 도심빈집정비사업으로 빈집을 무상 철거 후 해당 토지를 1년 이상 주차장 등 공공용지로 시민에게 무상 제공하는 경우 해당 토지를 유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