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지방세특례제도과-479(2020.03.02.) 

질의내용

 ○ 산업단지 내 토지를 취득하여 연구소 목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하고 그 토지와 건축물에 대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용으로 감면신청 이후 건축물 전체가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증받지 못하자

  - 당해 연구소용 건축물이 산업용건축물등에 해당되므로 건축물에 한하여 산업용건축물 등 신축에 따른 산업단지 감면을 신청한 경우로써

  - 건축물에 대하여는 산업단지 감면(§78)으로, 그 부속토지에 대해서는 기업부설연구소 감면(§46)으로 각각 다른 감면조항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회신내용

가. 「지방세특례제한법(2018.12.24. 법률 제16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지특법’이라 한다.)」 제46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부설연구소에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취득세의 100분의 35를, 과세기준일 현재 기업부설연구소에 직접 사용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재산세의 100분의 35를 각각 2019년 12월 31일까지 경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감면율) ’15년 이전 100% → ’15년∼’16년 75%(부칙적용) → ’17년 이후 35%

  - 같은 조 제4항에서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할 때 토지 또는 건축물을 취득한 후 1년(「건축법」에 따른 신축ㆍ증축 또는 대수선을 하는 경우에는 2년) 이내에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의2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정받지 못한 경우 등에 해당하는 경우 그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경감된 취득세 및 재산세를 추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 「지특법」 제78조 제4항에서 제1항에 따른 사업시행자 외의 자가 산업단지

등에서 산업용 건축물등을 신축 또는 증축하여 취득하는 부동산(신축 또는 증축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속토지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취득세의 100분의 50을, 최초 납세의무 성립일부터 5년간 재산세의 100분의 35를(수도권 외는 100분의 75를) 경감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감면율)  ’15년 이전 100% → ’15년∼’17년 100%(부칙적용) → ’18년 이후 50%

  - 위 규정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지방세 감면은 기업 연구조직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산업단지에 대한 지방세 감면은 공장의 집적 및 원활한 설립지원을 위하여 세제지원을 하는 것으로 그 지원목적을 각각 달리하고 있다고 할 것입니다.

나. 한편 「지특법」 제180조에서 동일한 과세대상에 대하여 지방세를 감면할 때 둘 이상의 감면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중 감면율이 높은 것 하나만을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데,

  - 같은 법 제46조제1항에서 규정한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감면대상도 기업부설연구소에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이고, 같은 법 제78조제4항의 산업단지 등에 대한 감면규정도 그 감면대상을 산업용 건축물 등을 신축 또는 증축하여 취득하는 부동산(부속토지 포함)이라 하여 ‘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에 대하여 감면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양자 공히 해당 ‘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를 과세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 지상정착물의 부속토지란 지상정착물의 효용과 편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토지를 말하고 그 필지 수 등에 관계없이 지상정착물의 이용현황에 따라 객관적으로 판단할 사항으로서 이는 하나의 유기적인 관계에 있는 동일한 과세물건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므로,

  - ‘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를 별개의 과세대상으로 보아 각 감면규정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고 볼 것은 아니고 동일 과세대상에 둘 이상의 감면규정이 적용되는 경우로서 그 중 감면율이 높은 것을 적용할 수 있을 뿐이라 할 것입니다.

다. 따라서 당초 취득한 토지를 기업부설연구소에 사용할 목적으로 감면을 받았다 하더라도 지상정착물인 건축물이 기업부설연구소로써 감면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부속토지에 대하여도 더 이상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감면을 적용할 수 없다 할 것이고,

  - 아울러 신축 건축물이 산업단지 감면요건에 해당되어 감면규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건축물뿐 만 아니라 그와  유기적 이용관계에 놓여 있는 당해 부속토지에 대해서도 함께 산업단지 감면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입니다. 이는 질의 당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판단한 해석으로써 추가 사실 확인 등 변동이 있을 시는 당해 과세권자가 면밀한 조사를 통해 결정할 사안입니다. 끝.

 

지방세특례제도과-479(2020.03.02.)

번호 제목
2767 사업인정 전의 사업시행자와 부동산등을 매매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 ‘사업인정을 받은 자에게 매수된’이라는 취득세 감면요건을 충족하는 지 여부
» 건축물에 대하여는 산업단지 감면(§78)으로, 그 부속토지에 대해서는 기업부설연구소 감면(§46)으로 각각 다른 감면조항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2765 청구인에게 한 취득세 등의 경정청구거부처분은 유상승계 취득분(부담부)은 법정기한 내에 계약이 해제된 것으로 하여 그 과세표준과 세액을 경정하고,나머지 심판청구는 기각한다
2764 용역업체 경비원에게 송달한 우편물도 묵시적으로 위임하였다면 적법하게 송달됨
2763 건축물 대장상의 용도는 주택이나, 사실상 펜션 또는 민박으로 사용하는 경우 주택유상거래 세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2762 재산세는 사실상 현황에 따라 부과하는 것으로서, 쟁점건축물이 주택이 아닌 민박용으로 사용된 사실이 확인되었는바, 처분청이 주택으로 보아 종전에 부과하였던 재산세 등을 시정하여 이 건 재산세 등을 부과한 것이고, 제척기간이 경과하였다거나 과세표준 산정에 오류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처분청에서 이 건 재산세 등을 부과한 처분은 잘못이 없음
2761 상속으로 인한 1가구1주택 취득세 비과세 여부에 관한 질의회신 [1]
2760 상속으로 인한 1가구 1주택 세율특례 해당여부 질의 회신
2759 신고납세방식 조세에서 과세표준 등의 신고행위가 당연무효인 경우 및 그로써 확정된 조세채무가 존재함을 전제로 하는 과세관청의 징수처분과 가산세 부과처분이 위법한지 여부
2758 납세정보 부분 비공개 결정에 관한 심사청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