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제2007-605호

결     정     서



   위 당사자간 취득세 등 부과 사건에 관하여 2007년 9월 5일 청구인으로부터 심사청구가 있으므로 이를 심의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주            문

청구인의 심사청구를 기각한다.

이            유

1. 원처분의 요지
   처분청은 청구인이 2007.3.22. 서울특별시 ○○구 ○○동 1-62번지 토지 129㎡를 215,218,010원에, 같은 동 1-395번지 토지 133.154㎡를 109,695,000원에 각각 부동산매매계약을 체결(이하에 두 필지 토지를 “이 사건 토지”라 한다)하고, 2007.4.13.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한 후, 2007.5.30. 이 사건 토지의 취득가액(324,913,010원)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이 사건 취득세 등을 신고하였으나, 그 취득신고가액이 지방세법 제111조 제1항 및 같은 조 제2항에 의하여 산출한 이 사건 토지의 시가표준액에 미달하므로 그 시가표준액(471,870,000원)을 과세표준액으로 하고 지방세법 제112조 제1항 등의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취득세 9,437,400원, 농어촌특별세 943,740원, 등록세 9,437,400원, 지방교육세 1,887,480원, 합계 21,706,020원에 대한 신고 납부서를 교부하였다.

2. 청구의 취지 및 이유
   청구인은 청구 외 ○○로부터 서울특별시 ○○구 ○○동 1번지 일대 ○○ 2구역 ○○아파트 211동 401호의 재개발 조합원 권리를 그 감정평가금액(324,913,010원)을 가액으로 하여 취득하고, 처분청에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한 후 신고필증을 교부받았으므로, 이 사건 토지의 과세표준은 감정평가금액으로 하여야 함에도 처분청이 이 사건 토지의 시가표준액(471,870,000원)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이 사건 취득세 등을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면서 그 경정을 구하고 있다.

3. 우리부의 판단
   이 사건 심사청구는 시가표준액보다 낮은 재개발사업자의 감정평가액을 거래가액으로 신고한 경우 이를 검증된 가격으로 보아 이를 사실상의 취득가격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다툼이라 하겠다.

   먼저 관계법령을 보면, 지방세법 제111조 제1항, 같은 조 제2항 본문 및 그 제1호는 취득세의 과세표준은 취득당시의 가액으로 하며, 취득당시의 가액은 취득자가 신고한 가액에 의하고 다만, 신고 또는 신고가액의 표시가 없거나 그 신고가액이 다음 각호에 정하는 시가표준액에 미달하는 때에는 그 시가표준액에 의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제1호에서 「부동산가격 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가격이 공시되는 토지 및 주택에 대하여는 동법에 의하여 공시된 가액이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11조 제5항 본문에서 다음에 게기하는 취득(증여ㆍ기부 그 밖의 무상취득 및「소득세법」제101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거래로 인한 취득을 제외한다)에 대하여는 제2항 단서 및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사실상의 취득가격 또는 연부금액에 의한다고 하면서 제5호에서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제27조의 규정에 의한 신고서를 제출하여 동법 제28조의 규정에 의하여 검증이 이루어진 취득으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30조 제1항 및 제2항에서 부동산ㆍ선박ㆍ항공기ㆍ자동차 및 건설기계에 관한 등록세의 과세표준은 등기ㆍ등록당시의 가액으로 하며, 그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과세표준은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등기ㆍ등록자의 신고에 의한다. 다만, 신고가 없거나 신고가액이 지방세법 제111조 제2항 각호의 규정에 의한 시가표준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시가표준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제3항에서 제111조 제5항의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동조 동항의 규정에 의한 사실상의 취득가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청구인의 경우를 보면, 청구인은 2007.3.22. ○○ 2구역 주택재개발조합원인 매도인이 조합원분으로 분양받을 예정인 서울특별시 ○○구 ○○동 1번지 ○○ 2구역 현대아파트 211동 401호 대지 58.730㎡와 그 지상건축물 112.805㎡를 450,000,000원에, 2007.5.31. 잔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2007.4.13. 재개발조합원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매도인 소유였던 같은 동 1-62번지 토지 129㎡와 같은 동 1-395번지 토지 133.154㎡를 총 324,913,010원으로 각각 취득하는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하였으며, 2007.5.30. 처분청이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청구인의 신고가 이 사건 토지의 시가표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신고되었음을 확인하고 그 시가표준액(471,870,000원)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이 사건 취득세 등의 납세고지서를 교부한 사실은 관계증빙자료에서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청구인은 매도인으로부터 재개발 조합원 권리를 그 감정평가금액(324,913,010원)을 가액으로 하여 취득하고, 그 취득가액으로 처분청에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한 후 신고필증을 교부받았으므로 지방세법 제111조 제5항 제5호에서 규정하는 검증이 이루어진 취득에 해당되어 신고가액을 과세표준으로 이 사건 취득세 등이 과세되어야 함에도 실제 매매대금(450,000,000원)보다도 많은 시가표준액(471,870,000원)를 과세표준으로 하여 이 사건 취득세 등을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지방세법 제111조 제1항, 제2항, 제5항 및 같은 법 제130조 제1항 내지 제3항 규정을 종합하면, 토지의 취득세(등록세) 과세표준은 취득(등기)당시의 가액으로 하고, 취득(등기)당시의 가액은 취득(등기)자가 신고한 가액에 의하고 신고가액이 시가표준액에 미달하는 때에는 그 시가표준액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하는 것이며, 예외적으로 그 토지의 취득가액이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제27조의 규정에 의한 신고서를 제출하여 같은 법 제28조의 규정에 의하여 검증이 이루어진 취득인 경우에는 비록 그 신고가액이 시가표준액에 미달하는 경우라도 그 신고가액을 과세표준으로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청구인의 경우, 이 사건 토지 등을 포함하는 불광 2구역 재개발사업의 시행자가 조합원 등의 청산금의 산정 등을 목적으로 평가한 이 사건 토지의 감정평가액을 부동산 거래가격으로 신고하였다 하더라도 그 신고한 감정평가액이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제28조의 규정에 의하여 검증된 거래가격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신고가액이 시가표준액보다 낮은 경우에는 시가표준액을 이 사건 취득세 등의 과세표준으로 하여야 할 것인 바, 청구인이 청구 외 ○○로부터 서울특별시 ○○구 ○○ 2구역 주택재개발조합원 자격을 승계 취득하면서 이 사건 토지를 324,913,010원에 취득한 것으로 처분청에 부동산거래계약신고를 하고 처분청에 취득세 등의 신고를 하였으나 그 신고가액이 시가표준액(471,870,000원)에 미달하는 이상 이 사건 토지의 취득에 대하여 시가표준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이 사건 취득세 등을 부과 고지한 것은 적법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청구인의 주장은 이유가 없다고 인정되므로 지방세법 제7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2007. 10. 29.


                       행 정 자 치 부 장 관

번호 제목
517 주택 취득 전에 기존 임차인들의 임차기간이 남아있어 유예기간 내에 목적사업용으로 사용할 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던 것은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 시가표준액보다 낮은 재개발사업자의 감정평가액을 거래가액으로 신고한 경우 이를 검증된 가격으로 보아 이를 사실상의 취득가격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다툼
515 「쌀소득등보전직접지불금」지급내역을 근거로 청구인이 이 사건 농지 취득일부터 2년 내에 직접 경작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경감한 취득세 등을 추징한 처분이 적법한 지 여부
514 주택을 청구인 및 그 가족이 상시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주말 및 여가를 이용해서 휴양 및 전원생활의 용도로 쓰는 별장으로 보아 이 사건 재산세 등을 부과한 처분
513 노래연습장으로 허가를 득하였다 하더라도 하나의 영업장으로 운영하는 이상 처분청이 이 사건 부동산 전체를 고급오락장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 재산세 등을 부과한 처분
512 영유아보육시설용으로 부동산을 취득한 후, 유예기간 내에 영유아보육시설 대표자 명의를 변경하여 운영하는 경우 취득세 등을 추징하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
511 선박부품제조업을 목적사업으로 하는 창업중소기업이 공장신축을 위하여 취득한 토지를 야적장으로 사용한 경우 당해 목적사업에 직접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510 기계장비 교체 공사시 발생한 기존장치 철거비 및 취득 후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구입비가 기계장비 취득원가에 포함되는지 여부
509 발전용수용 송수관이 재산세 과세대상인 급배수시설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납세의무자가 적정한지 여부
508 석탄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갤러리, 발전용수 급배수관로, 수조 및 저장조 및 송수관이 재산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송수관의 납세의무자가 적정한지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