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지방세정팀-3182(2007.08.10.) 

지방세정팀-3182(20070810) 등록면허세

 

원인무효등기에 대한 등록세 환급

 

관계법령  지방세법제124조

 

답변요지

 

등록세는 재산권 기타 권리의 취득·이전·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등재를 포함)하는 경우 등기, 등록을 받는 자에게 부과하므로 등기, 등록명의자와 실질적인 권리귀속 주체가 다르다거나 일단 공부에 등재되었던 등기, 등록이 뒤에 원인무효로 말소되어도 위와 같은 사유는 그 등기, 등록에 따른 등록세 부과처분의 효력이 없고 이미 납부한 등록세는 환부되지 않는다.

본문

 

 

1. 평소 지방세정 운영에 협조하여 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리며, 귀 지원 고양등기소-201호와 관련입니다.

 

 

 

2. 〈 질의내용 〉

 

 

 

사회복지법인의 기본재산 처분시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경매법원은 낙찰허가시에 입찰자로부터 이러한 허가서를 제출받은 후에 낙찰허가결정을 하고 그 이후의 절차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경매법원의 착오에 의하여 주무관청의 허가서가 제출되지 되지 아니하였음에도 낙찰허가결정을 하고 그 이후의 절차를 진행하였는바, 이러한 경우 그 낙찰허가는 원천무효에 해당하여 그 이후의 경매절차 및 촉탁에 의하여 낙찰자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가 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이때 이미 납부한 등록세는 환부가 가능한지에 대하여 질의하셨습니다.

 

 

 

3. 〈 회신내용 〉

 

 

 

가. 지방세법 제124조에서 등록세는 재산권 기타 권리의 취득·이전·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등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 등기 또는 등록을 받는 자에게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등록세는 재산권 기타 권리의 취득, 이전, 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하는 경우에 등기 또는 등록이라는 단순한 사실의 존재를 과세물건으로 하여 그 등기 또는 등록을 받는 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으로서, 그 등기 또는 등록의 유. 무효나 실질적인 권리귀속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므로 등기 또는 등록명의자와 실질적인 권리귀속 주체가 다르다거나 일단 공부에 등재되었던 등기 또는 등록이 뒤에 원인무효로 말소되었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사유는 그 등기 또는 등록에 따른 등록세 부과처분의 효력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대법원 1986.2.25. 선고 85누858 판결) 하겠으므로 이미 납부한 등록세는 환부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번호 제목
2777 재판상 조정으로 인한 보상시 대체취득 감면적용 여부 및 보상액 산정기준 [1]
» 일단 공부에 등재되었던 등기 또는 등록이 뒤에 원인무효로 말소되었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사유는 그 등기 또는 등록에 따른 등록세 부과처분의 효력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대법원 1986.2.25. 선고 85누858 판결) 하겠으므로 이미 납부한 등록세는 환부되지 아니한다
2775 등기명의인 경정(원시적 신청착오)을 원인으로 당초 과세대상 납세의무자(개인명의)에서 비과세 대상 납세의무자(교회명의)로 등기명의인을 변경하였다고 하더라도 당초 개인명의로의 등기에 따른 등록세 과세처분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담임목사 개인명의로 등기시 신고·납부한 등록세는 환부대상이 아닌 것으로 사료됩니다.
2774 등기공무원 착오 등기시 등록면허세 납세의무 관련
2773 등기공무원 착오등기시 등록세 납세의무
2772 법원이 가압류기입 등기촉탁 각하결정을 하면서 착오발견을 이유로 가압류등기를 직권으로 말소한 경우라면, 등기관의 착오로 인해 등기되지 아니할 등기가 착오 등기된 것이므로 등기 자체가 하자가 있어서 당해 등기는 적법한 공시로서의 효력을 갖추지 못하게 되어 그 등기의 실행이라는 사실 자체가 존재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2771 노인복지시설을 취득일부터 1년 이내 해당 용도로 직접 사용하지 못한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2770 어떤 건축물이 지방세법시행령 제142조 제1항 제2호 (3)목 소정의 별장용 건축물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그 건축물이 사실상의 현황에 의하여 별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면 족하고 그 사용주체가 반드시 그 건축물의 소유자임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그 건축물의 임차인이라도 무방하다.
2769 주택 건물분 유상취득시 적용 취득가액 여부
2768 지역개발사업 지방세 감면대상 '사업장 신설'에 해당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