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조심2010지0681 (2010.11.03) 

제    목 처분의 당사자가 아닌 자가 제기한 심판청구의 심리여부(각하)

 

[사건번호] 조심2010지0681 (2010.11.03)

 

 

 

[세     목] 기타

 

[결정유형] 각하

 

----------------------------------------------------------------------------------------------------------

[제     목]

 

처분의 당사자가 아닌 자가 제기한 심판청구의 심리여부(각하)

 

 

 

[결정요지]

 

이의신청에 대한 처분의 당사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심판청구는 부적법한 청구에 해당함

 

 

 

 

 

[관련법령]

 

지방세기본법 제127조 【이의신청 및 심사청구와 심판청구에 관한 「국세기본법」의 준용】

 

 

 

[참조결정]

 

 

 

 

[따른결정]

 

 

----------------------------------------------------------------------------------------------------------

 

[주    문]

 

 

 

심판청구를 각하한다.

 

 

 

 

 

[이    유]

 

 

 

  본안심리에 앞서 이 건 심판청구가 적법하게 청구되었는지에 대하여 본다.

 

 

 

  (1) 「지방세법」제72조 제1항에서 이 법에 의한 처분으로서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을 받았거나 필요한 처분을 받지 못함으로써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당한 자는 이 절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그 제2항 제1호에서 이 절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 심사청구 또는 심판청구에 대한 처분은 제1항의 처분에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단서에서 이의신청에 대한 처분에 대하여 심사청구 또는 심판청구를 하는경우를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 청구인의 경우, OOOOOOO이 2005.1.19. OOOOOO을 상대로 한 지방세이의신청에 대하여 이의신청결정기관인 OOOOOO이 2005.4.25. 결정 통지한 이의신청 결정서(OOOOOOOOO) 주문의 내용을 정정하여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청구인은 「지방세법」제72조 제2항 제1호 단서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에 대한 처분의 당사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할 것으로서 청구인의 이 건 심판청구는 부적법한 청구에 해당되므로, 「지방세법」제77조 제5항과 「국세기본법」제81조 및 제65조 제1항 제1호에 의하여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번호 제목
314 협의이혼일부터 2년이 경과한 후 재산분할로 취득한 아파트를 취득세 비과세 대상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 처분의 당사자가 아닌 자가 제기한 심판청구의 심리여부(각하)
312 대리권 없는 자의 부적법한 심판청구 심리여부(각하)
311 청구의 적격이 없는 자의 심판청구 심리여부(각하)
310 압류처분 당시 부동산등기부등본상 쟁점부동산이 갑의 명의로 등기되어 있는 이상, 대외적으로 갑의 소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갑에게 귀속된 쟁점부동산을 압류한 처분은 정당한 것임. [1]
309 「미공시 공동주택 시가조사 및 과표산정기준」에 의해 시,군,구에서 직접 또는 전문평가기관에 의뢰하여 개별공동주택의 시가를 조사, 산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장이 공시할 수 없는 미공시 공동주택의 주택가액을 전문평가기관이 조사, 산정한 가액으로 결정하고 이를 과세표준으로 한 재산세 등을 부과한 처분은 타당하다.
308 한정승인신고수리를 받기 전에 이미 부과된 자동차세는 상속인이 납세의무가 있는지 여부(기각)
307 압류등기가 된 부동산을 양도받아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청구인은 공매처분에 대하여 사실상이고 간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질 뿐 법률상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공매처분의 취소를 구할 수 없다
306 납세고지서를 처분청의 사무실에서 친척에게 송달한 경우, 적법한 송달 여부(취소)
305 주택의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시 총 공사금액을 공동주택 총 연면적에서 당해 조합원 소유의 개별 주택 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로 안분계산하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기각)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