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행정안전부 지방세운영과-1561(2018-07.10.) 

행정안전부 지방세운영과-1561(2018-07.10.)

 

대물변제로 받을 토지의 일부를 매매시 취득시기와 연부취득인지 여부에 대한 회신

 

<질의요지>

시행자(이하 '매도인'이라 함)가 군부대이전 및 부지개발사업에 대한 사업비를 선부담하고 시행청으로부터 그 대가로 받을 토지의 일부(이하 '젱점토지'라 함)를 제3자(이하 '매수인'이라 함)와 매매계약(이하 '쟁점계약'이라 함)을 체결한 경우, 그 계약이 연부계약인지 여부와 그에 따른 취득시기

 

<회신내용>

가. 지방세법 제6조에서는 '연부'란 매매계약서상 연부계약 형식을 갖추고 일시에 완납할 수 없는 대금을 2년 이상에 걸쳐 일정액씩 분할하여 지급하는 것을 말하고,

- 같은법 시행령 제20조제2항에 따르면 유상승계취득의 경우 사실상의 잔금지급일을 취득일로 보나, 같은 조 제5항에서는 연부로 취득하는 것(취득가액의 총액이 법 제17조의 적용을 받는 것은 제외한다)은 그 사실상의 연부금 지급일을 취득일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대물변제는 요물계약으로서 다른 급부가 부동산의 소유권이전인 때에는 그 소유권 이전등기를 완료하여야만 대물변제가 성립되어 기존 채무가 소멸하는 것이어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때를 취득으로 보는 것(대법원 1999.11.12. 선고 98두17067 판결 참조)이 합리적이라 할 것이고,

- 대물변제로 받은 다른 급부가 취득세 과세대상에 해당하고 대물변제의 이행으로 채권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취득세 과세대상 물건을 취득하고 그에 대한 매매대금을 지급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이는 사실살의 취득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 매도인의 취득시기는 쟁점토지의 토지조성공사 준공시점과 소유권이전등기일 중 빠른말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 행정안전부 지방세운영과-2458, 2016.9.22. 참조

 

다. 매수인의 경우 매도인에게 잔금을 지급함으로써 취득의 시기가 도래한다고 볼 수 있는데, 매수인이 잔금을 지급할 당시 매도인은 쟁점토지에 대한 사용·수익·처분에 관한 권능을 행사할 수 없는 점을 고려할 때,

- 매도인이 쟁점토지를 취득하는 시기에 매수인의 취득시기 역시 도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고, 그에 따라 쟁점계약으로 보기 어럅다고 판단되나, 이는 과세권자가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판단할 사항입니다.  끝.

 
번호 제목
2517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가산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귀하의 경우는 취득세가 감면되는 줄 알았거나 안내를 받지 못하여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로서 법령의 부지 또는 오인은 그 정당한 사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2516 감면된 세액이 추징될 수 있다는 안내를 받지 못한 것이 지방세기본법 제54조제1항에서 규정한 가산세를 면제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된다고는 볼 수 없다.
2515 가산세의 부과요건 및 납세자가 법령을 부지 또는 오인한 것이 가산세를 부과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2514 법인지방소득세 관련 가산세 부과 여부 질의 회시
2513 처분청이 청구인의 감면신청을 수용하여 감면을 하였다가 감면대상이 아님을 확인하고 당초 감면을 취소하여 취득세를 부과하면서 가산세를 가산하여 부과한 처분이 적법한지 여부
2512 「지방세특례제한법」제33조에 따라 분양을 목적으로 건축한 주택으로 보아 감면받았으나, 처분청의 과실로 부과하지 않다가 감사원의 지적으로 4년이 지난 시점에 부과하면서 가산세를 부과한 처분의 당부
2511 가산세의 법적 성격과 가산세 면제의 정당한 사유
2510 쟁점무허가주택에 대하여 주택유상거래에 대한 취득세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 대물변제로 받을 토지의 일부를 매매시 취득시기와 연부취득인지 여부에 대한 회신
2508 연립주택의 지하실 부분을 세대별로 구분한 경우 구 서울특별시조례상과 세면제대상인 서민주택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세대별 전용면적의 계산방법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