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지방세특례제도과-2745(2020. 11. 18.) 

<질의요지>

 ○ 00동 주민복지 목적 사업을 위해 설립한 해당 주민복지위원회를 ?지방세특례제한법? 제90조에 따른 "마을회등"으로 보아 감면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회신내용>

 ○ 지방세특례제한법 제90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마을회 등 주민공동체(이하 "마을회등"이라 한다)의 주민 공동소유를 위한 부동산 및 선박을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를 2022년 12월 31일까지 면제한다.(이하 생략)’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2항(제1항을 포함하여 이하 “쟁점규정”이라 함)에서 ‘마을회등이 소유한 부동산에 대해서는 재산세(「지방세법」 제112조에 따른 부과액을 포함한다) 및 「지방세법」 제146조제2항에 따른 지역자원시설세를, 마을회등에 대해서는 주민세 재산분 및 종업원분을 2022년 12월 31일까지 각각 면제한다.(이하 생략)'고 규정하고 있으며,

   -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서는 '법 제90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마을회 등 주민공동체"란 마을주민의 복지증진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을주민만으로 구성된 조직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쟁점규정에서의 "마을회"란 마을주민 전체의 복리증진을 위한 친목적 조직이라 할 것이며, 그 구성원은 전체 주민 대다수가 참여하는 자생적 조직이라 정의(지방세특례제도과-524, 2019.2.18.)할 수 있는바,

   - '마을회 등 주민공동체'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①"마을"이라는 특정지역에 지역적기반을 두고 있는 마을주민들의 공동체에 해당되어야 하고, ②그 구성원도 마을주민이면 누구나 특별한 가입조건이 없이 당연히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③마을주민들의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주민공동체의 주된 목적이어야 할 것이고, ④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동체 명의로 소유하는 재산에 해당하는 경우라야 할 것입니다.

 ○ 해당 위원회를 쟁점규정에 따른 "마을회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면,

   - "마을"의 사전적 의미는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이웃하여 살아가는 동네"로 촌락 또는 촌리를 말한다 할 것(조심 2009지0824, 2010.6.11.)인바, 사회통념상동 단위의 대규모 범위까지 쟁점규정의 "마을회 등"에 포함하는 것은 어렵다고할 것인 점,

   - 해당 위원회의 정관 등에서 각 통별 4인의 정위원, 특별한 공로 또는 학식 있는 자로 추천받은 5인 이내의 명예위원, 구?시의원 또는 그 이상의 직위를 가지는 자로 구성(정관 §5)하고, 그 위원의 문병?애경사 등의 경우에 한해 경조금을 지원(규칙 §3)토록 규정하고 있는 것에서 볼 때, 해당 위원회가 주민전체를 구성원으로 하고 있다거나 특별한 가입조건 없이 누구라도 그 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보기는 무리(동일 취지, 지방세운영과-395(2012.2.8.), 조심 2015지0908(2015.11.23.) 등 다수)가 있어 보이는 점 등을 종합해 볼 때,

 ○ 해당 위원회가 00동 주민들의 복지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하더라도, 마을 단위의 개념에 부합하지 아니하고, 조직 구성 및 운영에 있어 마을주민만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쟁점규정에 따른 "마을회등"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끝.

 

지방세특례제도과-2745(2020. 11. 18.)

번호 제목
47 공유수면에 설치한 구조물을 토지로 볼 수 있는지 여부와 납세의무자에 대한 질의
46 잔금지급 및 전매 이후 원시취득이 도래한 경우 납세의무 여부 질의 회신
45 납세지가 틀렸을 경우 사업소세 처리방법
44 청구인이 제시하고 있는 경제적 궁핍 등을 이유로 재산세 등의 감면을 적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고 처분청이 산출한 재산세 등의 과세표준 및 세액에 오류ㆍ하자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사유가 보이지 아니하므로 이 건 재산세 등을 과세한 처분은 잘못이 없다.
43 형사소송절차에서 보충송달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의 준용 여부 및 보충송달 수령자의 수송달능력에 대한 판단 기준과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송달받은 피고인의 동거 가족이 문맹이고 거동이 불편한 자인 경우, 그 송달의 효력
42 청구인이 쟁점부동산을 사실상 취득한 것으로 보아 취득세 등을 과세한 처분의 당부
41 납세정보 부분 비공개 결정에 관한 심사청구
40 대리권 없는 자의 부적법한 심판청구 심리여부(각하)
39 학교 등의 공공직업훈련시설 목적 운영 부동산 취득세 감면 여부 질의 회신
38 사용승인을 받지 못한 쟁점주택에 대한 취득세율을「지방세법」제11조 제1항 제7호 나목의 세율(4%)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같은 항 제8호의 주택에 대한 세율(1%)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