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지방세운영과-220(2018.01.29.) 

제목: 취득세 신고 후 원인무효 판결시 기납부 취득세 환급 여부 질의 회신

 

 

<질의요지>

  ○ 매매계약에 따라 취득세를 신고납부 후 소유권 이전등기를 경료하였으나 대법원에서 그 매매계약이 매수자의 귀책이 아닌 원인무효 사유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받은 경우, 당초 신고납부한 취득세를 전액 환급하여야 하는지 여부

 

<회신내용>

  가. 지방세법 제7조제1항에서 취득세는 부동산등을 취득한 자에게 부과하는 것이며,

    - 같은 법 제24조제1호에서 등록을 하는 자는 등록면허세 납세의무가 있으나, 제23조제1호에서는 등록면허세에서 "등록"의 용어에 대해 제2장에 따른 취득을 원인으로 이루어지는 등기 또는 등록은 제외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동 규정은 2011년 세목통합 당시 종전의 舊취득세 부분과 舊등록세 중 취득과 관련한 등기?등록 부분에 대해 세부담 증감없이 취득세로 통합하여 과세하고, 취득과 관련없는 등기?등록 부분에 대해서는 등록면허세로 과세하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다. 한편, 대법원에서는 세목통합 전에는 사기?강박 등으로 원인무효 판결을 받은 경우 실체적인 법률관계에 있어 그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볼 수 없어 舊취득세의

납세의무는 없다(2006두14384, 2007.1.25.)고 보았으나,

    - 舊등록세는 재산권 기타 권리의 취득, 이전, 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하는 경우에 등기 또는 등록이라는 단순한 사실의 존재를 과세물건으로 하여 그 등기 또는 등록을 받는 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으로서 그 등기 또는등록의 유?무효나 실질적인 권리귀속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므로, 舊등록세 신고납부의

효력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2002두1991, 2002.4.26.)고 판단한 바 있습니다.

 

  라. 따라서, 취득을 원인으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이행한 후 원인무효 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취득세는 부과취소하되,

    - 그 소유권 이전등기가 취득과 무관한 등기행위에 해당하는 이상 등록면허세 납세의무가 있다고 할 것입니다.  끝.

 

 

지방세운영과-220(2018.01.29.)

번호 제목
164 공유물 분할에 따라 지분을 초과하여 취득한 주택의 적용세율 질의 회신
» 취득세 신고 후 원인무효 판결시 기납부 취득세 환급 여부 질의 회신
162 재개발사업구역내 조합원 지분(건물만 보유) 승계 시 취득세 과세 여부 등 질의 회신
161 과거의 견해 표명을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견해 표명을 변경한 이후 장래에 대하여 종전 과세관행과 달리 과세처분하는 것은 신의성실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
160 잔금지급 및 전매 이후 원시취득이 도래한 경우 납세의무 여부 질의 회신
159 교회의 재정으로 부동산을 취득하여 교회재단 명의로 등기하고, 노인요양시설을 설치·신고하여 교회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며, 장기요양기관의 시설급여 중 노인복지시설로 취득하는 부동산의 경우 수익사업에 해당되지 않고, 입소자가 무료 또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른 장기요양급여수급자로 구성되어 장기요양급여를 수령하여 운영되는 경우라면 재산이 유료로 사용되는 경우는 아니므로 재산세는 비과세 대상이다.
158 임대주택 공동건축주(부부) 1인의 사망으로 불가피하게 상속지분과 건축주의 지위를 승계받은 상속인(공동건축주 1인)으로부터 분양받은 경우 그 상속지분도 건축주로부터 최초로 분양받은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것입니다
157 전기 이륜자동차의 취득세 과세제외 여부
156 주택을 분리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 시가표준액 질의 회신
155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 조경공사비, 도로포장비 등을 건축물 또는 토지(간주취득) 중 어느 과세대상에 적용해야 하는지 여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