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세.한국

법령해석 사례

법령해석 사례
문서번호/일자 세제과-1626 (2015.01.30) 
세제과-1626 (2015.01.30) 취득세 
 

 제목

임대사업자 취득세 감면 관련 질의 회신

[답변요지]

6인이 공동 명의의 건축주로서 보존등기 후 각자 지분대로 공유물분할 등기를 한 경우라면, 이후 임대사업자가 당해 부동산을 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더라도 ‘최초로 분양받은’ 부동산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

(사실관계)
甲: 매도자
乙: 매수자, 임대사업자
- 2008.2.25. : 甲이 이 사건 과세물건 소재지의 기존 주택 매입
- 2014.11.7. : 甲외 5인이 공동명의로 사업자등록하여 주택 재건축 후 소유권 보존등기 및 같은 날 이 사건 과세물건에 대해 甲명의로 공유물 분할 등기
- 2015.1.7. : 甲과 乙간에 주택매매계약 체결
- 2015.1.13. : 乙이 임대사업자로 등록

(질의요지)

이 사건 과세물건을 乙이 취득할 때,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 제1항에 따라 임대사업자가 임대할 목적으로 건축주로부터 공동주택 또는 오피스텔을 최초로 분양받은 경우로 보아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지 여부

(회신내용)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 제1항 제1호에서는 임대사업자가 임대할 목적으로 건축주로부터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인 공동주택 또는 오피스텔을 최초로‘분양’받은 경우에는 취득세를 면제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서, 건축주로부터 최초로 분양받은 경우란 건축물을 신축한 이후 건축주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하고 최초의 수분양자가 자기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할 것(서울시 세제과-3173, 2013.3.14. 및 세제과-9737, 2013.8.1. 같은 뜻)인 바,
귀 문에서와 같이 6인이 공동 명의의 건축주로서 보존등기 후 각자 지분대로 공유물분할 등기를 한 경우라면, 이후 임대사업자가 당해 부동산을 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더라도 ‘최초로 분양받은’ 부동산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처분청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종합하여 최종 판단할 사항임을 안내해드립니다.끝
번호 제목
194 대체부동산 취득당시 감면 대상에 해당됨에도 보상금이 확정되지 않아 취득세를 선납하고 사후 토지수용확인서가 제출되어 기납부 세액을 환부 조치하는 것이라면 환급관련 법령의 착오납부 또는 납부후 그 납부의 기초가 된 신고 또는 부과를 경정하거나 취소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할 것이라 대체부동산의 취득세 취소에 따른 지방세환급 가산금은 그 납부한 다음날부터 환급 가산금을 환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193 건물증축 개인 시공 취득세 신고납부 후 법인장부 가액 등으로 경정청구 가능 여부 질의회신
192 지방세 가산세 납세의무 관련 질의 회신
191 매입임대주택 취득세 감면 최초분양 해당 여부
» 6인이 공동 명의의 건축주로서 보존등기 후 각자 지분대로 공유물분할 등기를 한 경우라면, 이후 임대사업자가 당해 부동산을 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더라도 ‘최초로 분양받은’ 부동산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189 환지계획 등에 의한 취득부동산의 과세표준액인 조합원분양가 3억원에서 환지 이전의 승계취득부동산의 과세표준액 2억원[(보상가액 1억+프리미엄1억=승계취득할 당시의 취득세 및 등록세 신고를 한 과세표준액]을 공제한 1억원이 타당하다고 판단
188 공시되지 않은 신증축 주택의 과세표준액산출
187 등기공무원 착오 등기시 등록면허세 납세의무 관련
186 권리ㆍ영업권 등의 보상금, 영농ㆍ이농보상금, 주거이전비, 동산의 이전비 보상금 등은 대체취득시 비과세되는 가액이 아님
185 임대사업장에 대한 사업소세 재산할 납세의무 여부
 
위로